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제습기 에어컨 동시 사용해도 전기세가 엄청나게 많이 나온다던가 하지는 않았어서 요즘같이 비가 많이 와서 너무 습한 날에는 제습기로 습기를 잡고 제습기로 인해 올라간 온도는 에어컨으로 낮추고 있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에어컨도 제습 기능이 되니까 에어컨으로 제습을 하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에어컨 제습 성능도 꽤 좋죠. 하지만 요즘같이 습도가 90 이상인 날에는 에어컨 제습 기능만으로는 습도를 50 이하까지 낮추기가 어렵습니다. 만약 에어컨 제습 기능만을 이용해서 습도를 조절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꼭 에어컨 제습 모드 후 송풍을 30분 이상 해줘서 에어컨 내부에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해줘야 합니다.
에어컨 제습 기능만 사용했을 때 전기세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에어컨 제습 모드로 하면 전기세 얼마나 나올까요?
여름이 되면 더워서 에어컨은 틀고 싶은데 전기세가 많이 나올까 봐 걱정이 앞서곤 합니다. 에어컨 냉방으로 트는 것보다 에어컨 제습 모드로 하면 전기세가 덜 나온다는 얘기를 듣고 에어컨 제
record0627.tistory.com
꼭 에어컨 제습 기능을 이용하지 않아도 에어컨 냉방 모드로 습도를 조절할 수 있긴 합니다. 온도를 낮춰서 습기를 없애는 방법인데 이때 습기를 없애기 위해서는 꽤나 온도를 낮게 만들어줘야 합니다. 제가 해봤을 때는 에어컨 24도 이하로 설정해야 습기 60 정도로 조절되더라고요. 개인적으로는 에어컨 온도를 24도로 설정하면 실내가 너무 추워서 냉방병에 잘 걸려서 잘 사용하지는 않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시도했던 방법이 바로 제습기 에어컨 동시에 사용해서 습기를 최대한 낮추되 온도를 시원하게 유지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사실 습도 낮추는 데는 제습기 성능 따라올 전자제품이 없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실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제습기의 치명적인 단점이 바로 제습기를 틀면 더운 바람이 배출된다는 것입니다. 제습기 구조 상, 실내기와 실외기가 합쳐져 있기 때문에 더운 바람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죠.
그래서 제습기로 올라간 온도를 낮추기 위해 에어컨을 동시에 틀어주는 것인데요. 제습기 에어컨 동시 사용하면 전기세가 많이 나올까 봐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제습기는 가정 상황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무리 많이 가동해도 전기세가 한 달에 만원을 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에어컨도 거의 대부분 인버터 모드(설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절전모드로 변환되어 전기세 절약 효과 있음)라서 예전처럼 전기세 폭탄을 맞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습기 전기세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record0627.tistory.com/entry/%EC%A0%9C%EC%8A%B5%EA%B8%B0-%EC%A0%84%EA%B8%B0%EC%84%B8
제습기 전기세 한 달에 얼마나 나올까요?
제습기 전기세는 하루에 5시간 정도 사용했을 때, 한 달에 평균 7,000~9,000원 정도 나옵니다. 다만, 제습량, 제습기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등에 따라 전기세가 덜 나올 수도 더 나올 수도 있습니다.
record0627.tistory.com
당연히 제습기 또는 에어컨만을 사용하는 것보다 제습기 에어컨 동시 사용하면 전기세가 좀 더 많기 나오긴 하겠지만 습도가 너무 높다던가 하는 날에는 제습기 에어컨 동시에 틀어주는 게 개인적으로는 가장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날씨, 전기세 등 고려하셔서 원하시는 방법을 선택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