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어컨 냄새 송풍 기능으로 없애는 방법

by 나의뒷모습 2022. 7. 18.

여름철에 에어컨을 많이 가동하다 보면 에어컨에서 냄새가 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시큼한 냄새가 나시는 분들도 있고 심지어는 오줌 냄새가 난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에어컨 기사님을 부르자니 시간이 없고 에어컨은 계속 사용해야 해서 냄새는 없애고 싶다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송풍 기능만으로 간단하게 에어컨 냄새를 없앨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에어컨 냄새 송풍 기능으로 없앨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에어컨 냄새 송풍 기능으로 없애는 방법

일단 에어컨 냄새가 나는 이유부터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에어컨 냄새가 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이유는 에어컨 내부 습기가 마르지 못해서입니다. 에어컨을 가동하면 더운 바람을 시원한 바람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내부에 물이 생기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에어컨을 사용하면 실외 호스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이기도 하죠. 물이 배출된다고는 하지만 에어컨 전원을 꺼버리면 내부에는 여전히 습기가 남아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습기가 마르지 못하면 곰팡이가 생기기 쉬워져서 냄새가 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에어컨 내부의 습기를 건조할 수 있을까요? 바로 에어컨 송풍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송풍 기능은 선풍기와 비슷한 원리로 작동해서 일정 시간 동안 틀어놓으면 내부의 습기를 건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전문가들은 냉방 기능을 이용한 후 전원을 끄기 전에 최소 30분은 송풍을 틀어놓으라고 조언합니다. 최소 30분이고 가능하다면 1시간 이상 틀면 에어컨 냄새 제거에 더 효과적입니다. 만약 자동 건조 기능이 있는 에어컨이라면 송풍보다 자동 건조 기능을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냉방 모드일 때는 냄새가 안 나는데 송풍 틀면 냄새가 난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요. 이건 온도가 낮으면 냄새 입자들도 움직임이 덜해져서 냄새 퍼지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송풍 모드는 찬바람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냉방보다는 높은 온도라서 냄새가 더 잘 느껴지는 것이죠. 이런 경우에도 송풍을 30분 이상 틀어놓으면 냄새가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만약 송풍을 충분히 틀어도 냄새가 없어지지 않는다면 냉방 온도를 18도로 설정해서 파워 냉방 모드로 1시간 정도 돌려주는 것도 냄새를 없애는 방법입니다. 구연산과 물을 1:10의 비율로 희석해서 실내 열교환기에 뿌린 후 창문을 열고 냉방 온도 18도로 30분간 가동해주는 것도 방법 중 하나입니다.

 

 

자동차 에어컨의 경우도 동일합니다. 자동차 시동을 끄기 5분 정도 전부터 에어컨은 끄고 송풍을 틀면 되는데요. 자동차에서는 외기 순환 버튼을 눌러주면 송풍 기능이 작동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에어컨 물 떨어짐 원인 6가지와 해결방법

창문형 에어컨 겨울엔 어떻게 해야할까요?

3년간 제습기 사용해보고 느낀 장단점 5가지

다이슨 공기청정기 솔직 사용 후기(1년 사용기)

자동차 보험료 낮추는 방법 알아보고 현명하게 가입하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