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권고하는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는 26℃이며 적정 습도는 40%입니다. 여름철 실내 온도가 실외 온도와 5℃ 이상 차이 날 경우, 우리 몸이 체온 조절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냉방병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우리나라 성인을 기준으로 25℃ 정도에서 쾌적함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습도가 높으면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쉽기 때문에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습도를 40% 정도로 유지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여름철에 특히 냉방병을 겪기 쉬운데요. 냉방병은 여름철 지속된 냉방으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가 커지면서 겪을 수 있는 질병으로 두통, 피로감, 소화불량, 어지럼증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에어컨 사용을 줄이는 것이 가장 좋으며 에어컨을 틀더라도 실내 적정온도인 26℃와 습도 40%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에어컨 사용을 조절하기 어려운 회사에서는 긴소매 옷을 입어 몸에 직접적으로 찬바람이 닿지 않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어컨 사용을 최소화하고 에어컨 사용할 경우, 2~4시간 간격으로 환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커튼을 이용해서 햇빛을 최소화하는 것도 에어컨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실내 온도가 18~20℃일 경우, 습도는 60%, 21~23℃일 경우에는 50%, 24℃ 이상이면 습도는 40%가 적당합니다. 습도 관리를 위해서는 에어컨 제습 기능이나 제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에어컨이나 제습기가 없다면 신문지, 마른 원두 찌꺼기, 숯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