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잡 하시는 분들은 종합소득세 신고는 해야 하는데 어떻게 신고하는 건지 막막하신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최근 유튜브, 애드센스, 배달 라이더 등 직장 외에 다양하게 돈을 벌 수 있는 파이프라인이 생기면서 많은 분들이 투잡을 하시는데요. 직장을 다니면서 얻는 근로소득 외의 소득이 생기는 경우에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잡을 하시는 분들은 꼭 신고 기간인 5월 안으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놓치면 세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투잡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투잡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일단 투잡의 유형부터 살펴봐야 합니다. 저는 오늘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첫번째는 두 곳 이상의 직장을 다니는 유형입니다. 두 곳 이상의 회사에서 근로소득을 얻는 분들은 근로소득을 합산해서 한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하면 됩니다. 하지만, 여러 곳에서 받는 근로소득을 하나로 합치지 않았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참고로, 두 곳 이상의 직장에 다니는 것은 아니지만 중도 퇴사로 인해 연말정산을 하지 못한 경우에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있는 유형입니다. 이 유형이 앞서 말씀드린 유튜브, 애드센스, 온라인 쇼핑몰, 배달 대행 등의 사업소득을 얻는 일을 회사를 다니면서 하는 경우입니다. 보통 투잡이라고 하면 이 유형에 해당되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이런 유형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근로소득에 대해서는 재직 중인 회사를 통해 연말정산을 하고 사업소득에 대해서는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본인이 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2가지 유형 모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하는 것은 맞습니다. 그럼 이제 종합소득세 신고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는 크게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세무사에 돈을 주고 세무사가 대신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세무사에 필요한 서류만 주면 되니 굉장히 편리하지만 세무사에 평균 15만 원 정도의 돈을 지불해야 합니다. 근로소득 외의 사업소득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15만 원이 부담스러운 금액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홈택스에서 직접 신고를 하는 방법입니다. 직접 신고를 하기 때문에 돈이 들지 않지만 굉장히 머리 아픈 방법이죠. 홈택스 들어가서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보셨던 분들은 아시겠지만 도대체 어떻게 신청하는 건지 내가 신청하고 있는 게 맞는 건지라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요즘은 신고방법에 대해 많이 유튜브에 많이 나와있다고 해서 본 적이 있는데 봐도 개인적으로는 여전히 어렵더라고요.
마지막은 신고를 대신해주는 어플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세무사 대신 어플에서 신고를 대신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세무사를 통한 신고는 약 15만 원 정도 든다고 말했는데 어플을 이용하시면 33,000원에 신고를 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 ssem이라는 어플을 이용하시면 되는데요, 간편 인증서 또는 금융/공동 인증서만 등록하시면 어플 내 자체 AI가 국세청에서 정보를 조회해와 세금을 계산해줍니다.
저는 이번에 ssem을 이용해서 신고를 했는데요. 인증서 한 번만 등록해놓으면 다음에 신고할 때 다시 등록하지 않아도 돼서 좋았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투잡으로 많이 하시는 유튜브, 애드센스 등의 수익도 추가할 수 있는 항목이 있어서 편리했습니다. 신고하는 데가 33,000원이고 세액 계산까지는 무료로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ssem에서 계산한 세금에 문제가 있을 경우, ssem에서 책임져준다는 문구도 있어 믿음이 좀 더 가기도 했습니다.
제가 여러 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보면서 찾은 가장 편리하고 가성비 좋은 방법은 ssem 어플을 이용하시는 것이었습니다. 최근에 투잡 하시면서 투잡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궁금하셨던 분들은 제가 오늘 추천드린 방법 이용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실비보험이란? 실비보험의 필요성과 가입전 알아야하는 필수 정보
중고차 비싸게 파는 법, 모르면 손해보고 팔 수 있어요
댓글